우리 부부가 부모님과 합가를 하면서부터 복날을 그냥 넘기면 왠지 눈치가 보인다.
부모님을 모시고 주로 가는 코스는 약간의 드라이브를 곁들인 청송 달기약수터다.
초복인 지난 일요일에도 달기약수터 초입의 약수식당을 찾았다.
주문한 음식 역시 변함 없이 닭백숙이다.
이집 백숙은 토종닭과 한약재와 마늘, 녹두, 찹쌀 등을 넣어 푹 고아낸 후에 닭을 먼저 건저 손님상에 올리고 남은 찹쌀과 국물로 죽으로 만들어 제공된다. 농촌지역이라서인지 모르겠으나, 각종 나물과 김치 등 밑반찬도 넉넉하다.
음식이 나오자 아버지와 나는 일단 주메뉴인 고기를 한점 덜어 맛을 본다.
닭고기 맛을 보면서 맞은편을 보니 어머니는 나물반찬을 맛보고 계셨고, 내 안사람은 목장갑과 비닐장갑을 끼면서 닭을 분해할 준비를 하고 있다.
잠시 후 닭을 고은 국물과 찹쌀로 만든 죽이 각자에게 제공되었다.
푹 고은 닭을 씹으면서 가족들이 먹는 모습을 틈틈이 관찰했다.
나의 아버지께서는 치아를 대부분 빼고 틀니를 하신 탓인지 육질이 단단한 부위는 잘 드시지 않는다. 어머니께서는 아버지의 앞접시에 육질이 연한 부위를 덜어드렸고, 아버지께서는 이것을 반찬 삼아 죽을 드신다. 죽 한 숟가락에 닭고기 한 점, 다음에는 죽 한 숟가락에 다른 밑반찬 한 점의 비율이다.
다음은 내가 먹는 방식이다.
먼저 넓은 접시에 제공된 삶은 닭고기를 4분의 1로 나눈 양과 내 앞에 있는 죽의 국물을 제외한 찹쌀의 양을 비교해 보았다. 개략적으로 1:1의 비율은 되어 보였다.
식사 한 끼 하는데 뭘 그리 비교 분석하느냐고 묻는다면 할말은 없지만, 내 짐작을 믿고 죽과 고기, 밑반찬을 1:1:1의 비율로 섭취했다.
나의 안사람은 아버지와 비슷하다.
죽을 먹으면서 한 번은 닭고기 한 점을, 다음 한 번은 밑반찬 한 점을 먹고 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방식이다.
일단 주메뉴가 나오기 전에 상차림과 함께 제공된 약수를 2잔이나 마시셨다. 하긴 뭐 달기약수는 위장병, 빈혈 치료 등 건강에 좋으니 많이 드셔도 나쁠 것은 없다. 죽이 제공되자 어머니께서는 다른 식구들과 달리 주로 밑반찬으로만 죽을 드신다.
"산나물이 참 맛있네"라며 나물만 드시는데, 어느 정도인고 하니 나로서는 이름을 알 수 없는 두 종류의 나물반찬을 각각 클래어하시고, 두 가지 모두 리필까지 해달라 하시고는 리필받은 접시까지 거의 마무리를 하신다.
그렇게 나물반찬으로 식사를 마치시고는 배가 불러 더 못 드시겠다고 하신다.
아버지와 내가 식사를 마친 후, 테이블 중앙에 놓인 넓은 접시에는 닭고기가 한 사람의 반찬 분량에서 약간 못미치는 정도가 남았다.
내가 좀 많이 먹고, 아버지와 안사람은 좀 적게 먹고, 어머니는 거의 드시지 않은 때문이다.
여느 때처럼 어머니께서는 내게 남은 고기를 다 먹을 것을 권하신다.
하지만 난 배가 부르다.
내가 배가 불러 더 못먹겠다고 하자, 어머니께서는 그제서야 남은 고기를 드신다.
잠시 후 고기접시는 깨끗이 비워졌다.
배가 불러 더 먹지 못하겠다는 어머니의 말씀은 믿으면 안된다.
어머니는 남편과 아들이 식사를 마칠 때까지만 배가 부르시기 때문이다.
'일상 또는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빔밥에 관한 유치한 단상 (1) | 2021.06.28 |
---|---|
선착순 10분만요[마감되었습니다] (31) | 2018.03.24 |
8장 남았습니다.(마감) (66) | 2018.02.26 |
초대장 10매 배포합니다.(10매 발송 완료) (64) | 2018.01.09 |
초대장 배포합니다.(마감) (32) | 2017.12.15 |